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경제

2025년 최신 주거급여 개편 총정리

by 부동산부자산이 2025. 6. 19.
반응형

 

2025년 주거급여 기준·지원금·신청 방법 완벽 총정리. 인상된 기준임대료와 수선유지비부터 실제 신청 꿀팁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올해는 이만큼 더! 2025년 주거급여 인상 내역, 놓치지 마세요

2025년 최신 주거급여 개편 총정리

 

2025년 주거급여, 왜 바뀌었을까?

2025년 1월 1일부터 주거급여 기준이 대폭 인상되었습니다. 인플레이션과 주거비 부담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임대료 1.1~2.4만원 인상, 수선유지비도 133만원~360만원 인상됐죠.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지원받는 월세와 자가가구 수선비가 더 많아졌습니다.

 

선정기준 & 지원대상

  •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48% 이하인 가구가 대상입니다.
  • 2025년 기준 월 소득인정액 상한선 (4인 가구 기준) : 2,926,931원 이하.
  • 부양의무자 여부는 신경 쓰지 않고, 신청가구 소득·재산만 봅니다.
가구원 수 월 소득인정액 상한선
1인 1,148,166원
2인 1,887,676원
3인 2,412,169원
4인 2,926,931원
5인 3,411,932원
6인 3,871,106원
 

임차급여 기준임대료 인상 폭

지역·가구원수별로 최대 지원할 수 있는 기준임대료가 다음과 같이 상승했어요.

  • 한눈에 보는 기준임대료 (월)
    • 서울(1급지) 1인 : 352,000원 → 1인 가구까지 확대
    • 6인 이상 최대 667,000원
    • 수도권, 광역시, 그 외 지역 등 급지 구분 시스템 적용

가구 수가 7명 이상이면 6인 기준으로 10%씩 가산 적용 됨

 

수선유지급여 (자가가구) 확 확대

자가가구 대상 수선비(3년·5년·7년 주기 기준)도 다양해졌습니다.

  • 경보수 : 590만원 (3년마다)
  • 중보수 : 1,095만원 (5년마다)
  • 대보수 : 1,601만원 (7년마다)

소득수준에 따라 80–100%까지 지원 가능하며, 도서지역은 10% 추가 인상

 

월세 지원 계산법 & 예시

  • 지원 계산법
    • 소득인정액 ≤ 생계급여 기준 → 기준임대료 전액
    • 초과 시 : 기준임대료 – ((소득인정액 – 생계급여 기준) × 30%)

예시: A씨(3인 가구, 서울 거주), 소득인정액 80만 원, 월세 30만 원
소득이 생계급여 기준(2,412,169원) 이하 → 월세 전액 30만 원 지원.

 

신청 방법 & 꿀팁

  • 신청 방법
    • 가까운 동주민센터 방문
    • 온라인 복지로(bokjiro.go.kr)
  • 필요 서류
    • 신청서, 소득·재산신고서, 임대차 계약서, 통장 사본 등.
  • LH 주택조사
    • LH 직원이 방문해 계약 사실 및 집 상태 조사
  • 팁!
    • 계약서에 보증금·차임 모두 정확히 기재
    • 실제 지출 임대료 확인하세요. 급지 구분 따라 지원금이 달라질 수 있어요.
반응형

 

자주 묻는 질문

Q.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신청 가능한가요?
A. 예, 부양의무자 조건은 2025년 주거급여에 적용되지 않아요.

 

Q. 계약 없이 무보증 월세 낼 경우?
A. 계약서 없거나, 실제 비용이 기준임대료의 5배 초과 시 최소 1만 원만 지급됩니다.

 

Q. 7인 이상 가구는?
A. 6인 기준임대료 + 가구원 2인당 10% 추가 계산 적용.

 

맺음말

2025년 주거급여는 기준임대료 및 수선유지비가 크게 올라, 월세 또는 집 보수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소득인정액 범위에 해당된다면 꼭 신청! 계약서 꼼꼼히 준비하고, 계약 금액 맞춰주면 지원금액에서 손해볼 일 없습니다.
“내 집, 내 월세, 내 부담” 한층 덜 수 있게 되길 응원할게요.

 

[참고 사이트]

 

위 내용은 공식 정부 자료 및 관계 기관 발표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신청 전 반드시 동주민센터 또는 콜센터(1600‑0777)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통합재가서비스 신청 대상자 및 장점 완벽 정리

통합재가서비스 신청 대상자, 장기요양등급 설명, 제외 대상자, 제공기관 찾는 법까지 총정리 "엄마가 편해진 이유, 우리 가족이 선택한 통합재가서비스" 우리 엄마는 올해로 81살. 아버지가 돌

sanisanee.com

 

 

 

2025 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지원정책, 매달 30만 원 받는 조건은?

2025년 서울시가 무주택 출산가구에 월 30만 원 주거비를 지원한다. 자격 요건, 신청 방법, 지급 기준 등 핵심 내용을 정리했다. 집 없이 애 낳으면 서울시가 매달 30만 원 지원해준다2025년 서울시

sanisane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