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경제

법인 명의 부동산의 회계 처리법 총정리

by 부동산부자산이 2025. 7. 6.
반응형

법인 명의로 부동산을 취득하거나 보유 중이라면 꼭 알아야 할 회계 처리법! 자산 분류, 감가상각, 취득세 회계 처리, 임대수익 인식, 매각 시 회계처리까지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법인 명의 부동산, 회계 처리 이렇게 한다! 실무자가 놓치기 쉬운 포인트 정리

법인 부동산 투자, 회계와 세무는 이렇게 구분한다

법인 명의 부동산의 회계 처리법

 

 

법인 명의 부동산이란?

법인 명의로 부동산을 취득하거나 보유하는 경우, 이는 곧 기업의 회계와 세무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거래다. 법인이 부동산을 소유할 경우 이는 기업 자산으로 등재되며, 재무제표에 기록되고 정기적으로 평가·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향후 부동산 처분이나 임대 시 수익에 대한 회계처리, 법인세 산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자산 계정 분류 기준

법인이 보유한 부동산은 목적에 따라 자산 계정이 달라진다.

구분 회계 계정 설명
자가사용용도 건물, 토지, 구축물 등 본사 사옥, 공장 등 직접 사용하는 부동산
임대용 투자부동산 타인에게 임대하여 수익 창출 목적
매각예정 매각예정자산 1년 내 매각계획 있는 경우, 기준 충족 시 분류
예시로, 사무실로 사용하는 건물은 유형자산(건물), 임대 목적으로 보유한 건물은 투자부동산으로 처리된다.

 

부동산 취득 시 회계처리

부동산을 취득할 때 발생하는 비용은 크게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 매매가격 : 건물/토지 가격 분리 인식 필요
  • 취득세, 등록세, 법무사 비용 등 : 자산의 취득원가로 계상
  • 중개수수료, 감정평가 수수료 : 자산계상 대상
 

감가상각의 기준과 처리 방법

법인 소유의 건물 등 유형자산은 회계상 감가상각 대상이다. 단, 토지는 감가상각하지 않는다.

  • 감가상각방법 : 정액법, 정률법 가능(일반적으로 정액법 사용)
  • 내용연수 : 건물은 20~40년, 구축물은 10~15년 등 세법상 기준 적용 가능
  • 상각비 인식 시기 : 매 회계기간(연 1회 또는 월별)

 

부동산 보유 중 지출 항목별 회계처리

항목 회계 처리 비고
부동산세, 종합부동산세 세금과공과 세금은 비용으로 인식
수선유지비 수선유지비 자산가치 증가시 자본적 지출로 자산 계상
보험료 보험료 회계연도별 분할비용 처리 가능
리모델링비 건물(증가) 또는 수선비 금액과 성격 따라 구분
 

임대용 부동산 수익 회계

법인이 소유한 부동산을 임대할 경우, 임대수익과 관련된 회계처리는 다음과 같다.

  • 임대료 수입 : 수익으로 인식 (계정: 임대료수익)
  • 보증금 : 부채로 인식 (보증금 반환 의무 있음)
  • 수익인식 기준 : 발생주의 기준에 따라 수익 시점 인식

 

매각 및 처분 시 회계 처리

부동산을 처분(매각)할 경우에는 아래 항목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 장부가액 제거 : 기존 자산과 누계 감가상각 제거
  • 처분손익 인식 : 매각금액 – 장부가액 = 손익
  • 부가세 처리 여부 : 용도에 따라 과세 대상 여부 확인
예시) 분개 (처분 시 이익 발생) 보통예금 600,000,000 / 건물 500,000,000 / 처분이익 100,000,000

 

주의해야 할 회계/세무 이슈

  • 토지와 건물 구분 계상 필수 : 감가상각과 자산평가에서 중요
  • 부동산의 용도 변경 시 자산 재분류 필요
  • 세무상 감가상각과 회계상 상각 차이 발생 가능
  • 임대보증금에서 발생하는 간주임대료 세무조정 필요

 

실무 체크리스트

부동산 취득 시 회계 분개 정확한가?
토지와 건물 감가상각 구분했는가?
임대보증금 회계처리 및 간주임대료 고려했는가?
수선비와 자본적 지출을 구분했는가?
처분 시 장부가와 실거래가 일치 검토했는가?
 

마무리 : 전문가 코멘트

“법인 명의 부동산은 일반 개인의 자산관리와는 접근이 완전히 다릅니다. 회계 및 세무 기준을 정확히 알고 처리하지 않으면 세무조사 시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회계사 또는 세무사와 함께 자산의 구조와 흐름을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부동산 양도세, 무료 계산" 1주택자·다주택자 양도세 계산법부터 비과세 요건까지

부동산을 팔면 내야 하는 양도세, 얼마나 낼까? 2025년 기준 양도소득세 세율, 비과세 요건, 장기보유공제, 신고 절차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양도세 얼마 내야 할까?” 2025년 부동산 양도소득

sanisanee.com

 

 

“부동산 취득세, 무료계산!” 2025년 최신 세율·감면 총정리

부동산을 살 때 반드시 납부해야 하는 ‘취득세’. 2025년 기준 세율, 감면제도, 납부 기한부터 생애최초·다주택자·증여 시 세금까지 핵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집을 사기 전 꼭 확인하세요. 집

sanisane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