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6·27 대책 발표 후 6주 만에 다시 오르는 서울 아파트값. 강남·한강벨트를 중심으로 한 상승세와 그 원인, 향후 전망을 분석한다.
서울 아파트값 재상승 조짐, 재건축 단지 중심 ‘한강 벨트’ 강세
오늘 부동산 기사 내용 요약
‘초강력 부동산 금융 규제’로 불린 6·27 대책 발표 후 서울 아파트값은 5주 연속 상승폭이 둔화했으나, 6주 만에 다시 오름세가 확대됐다.
- 서울 아파트값(8월 첫째 주) : +0.14%(전주 0.12% → 0.02%P↑)
- 상승세 견인 지역: 강남구, 성동구, 광진구, 용산구, 마포구, 강동구 등 ‘한강 벨트’
- 강동구 천호동 우성아파트 전용 64.53㎡, 올해 첫 9억 돌파(재건축 추진 단지)
- 서초구는 상승폭 둔화 중이지만, 일부 단지 최고가 경신(서초동 현대슈퍼빌 41억)
서울 아파트값 동향
한강 벨트 중심의 상승세
- 강남구 : 0.11% → 0.15%
- 성동구 : 0.22% → 0.33%
- 광진구 : 0.17% → 0.24%
- 용산구 : 0.17% → 0.22%
- 마포구 : 0.11% → 0.14%
- 강동구 : 0.07% → 0.14%(상승률 2배)
재건축 호재 지역의 강세
- 강동구 천호동 우성아파트 : 올해 첫 9억 돌파
- 재건축 관리처분인가 예정 + 연내 이주 계획
- 공급 감소 우려와 사업 진척이 가격 견인
고급 주택 시장의 저항력
- 서초구 현대슈퍼빌 전용 216.16㎡: 35억 → 41억(약 3개월 만에 6억↑)
- 6·27 대책 이후에도 초고가 아파트는 실수요 중심으로 강세 유지
원인 분석
- 공급 부족 불안감 : 재건축·재개발 속도 지연, 신규 분양 감소로 매물 희소성 강화
- 통화량 확대 기대감 : 금리 인하 또는 유동성 확대 가능성이 시장에 긍정적 신호
- 실수요 매수세 지속 : 규제에도 불구하고 학군·교통·생활 인프라 좋은 지역은 매수세 유지
- 재건축 호재 집중 : 사업 단계 진척 시점이 가까운 단지 중심으로 매수세 유입
반응형
향후 전망
단기(1~3개월)
- 한강 벨트, 재건축 단지 중심의 강세 지속 가능성
- 6·27 대책 효과는 일부 지역에서 제한적으로만 작동
- 매물 부족 현상 이어질 시 가격 추가 상승 여지
중기(4~12개월)
- 대출 규제 장기화 시 거래량 감소 불가피
- 금리 변화와 정부 추가 대책 여부가 시장 향방 좌우
- 공급 일정(분양·입주)과 재건축 인허가 속도에 따라 변동성 확대 가능
장기(1년 이상)
- 규제 완화·금리 인하 등 유동성 확대 시 재차 강세 가능
- 반대로 경기 침체나 세금 강화 시 조정 압력
전문가 한마디
부동산 업계는 “6·27 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핵심 입지와 재건축 단지는 실수요가 강하게 버티고 있다”며, “금리 정책과 공급 정책의 변화가 없을 경우 국지적인 가격 상승은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한다.
반응형
'부동산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분적립형·이익공유형 주택, 무주택자의 희망? 시장의 냉정한 시선과 전망 (4) | 2025.08.11 |
---|---|
서울 재건축·재개발 속도전… 대치·마천·흑석·홍제, 공급 청신호 (2) | 2025.08.11 |
직장인을 위한 임대사업자 등록 가이드 총정리 (4) | 2025.08.11 |
반전세 아파트 활용 꿀팁 : 보증금 vs 월세 조정법 (3) | 2025.08.10 |
소액 부동산 투자 전략 : 대학가 원룸 수익률 총정리 (8) | 2025.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