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_건강정보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총정리! 1인당 10만 원 지급 기준·신청방법·사용처

부동산부자산이 2025. 9. 15. 08:05
반응형

정부가 2025년 9월 22일부터 1인당 10만 원의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한다. 소득·재산 기준, 건강보험료 선정 기준, 맞벌이·1인 가구 예외, 군 장병 신청 방법, 사용처까지 소비쿠폰의 모든 정보를 총정리했다.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1인당 10만 원 지급 총정리 : 소득 하위 90% 국민 지원, 2차 소비쿠폰 10만 원 받는 법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총정리! 1인당 10만 원 지급 기준·신청방법·사용처

 

들어가며

정부가 오는 2025년 9월 22일(월)부터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시작한다. 1인당 10만 원이 지급되며, 사용 기한은 11월 30일까지다. 다만 모든 국민이 지급받는 것은 아니며, 소득·재산 기준에 따라 상위 10%를 제외한 소득 하위 90% 국민만 해당된다. 이번 글에서는 지급 대상 기준, 신청 방법, 사용처, 유의사항까지 상세히 정리해본다.

 

지급 개요

  • 명칭 : 민생회복 소비쿠폰(2차 지급)
  • 지급액 : 1인당 10만 원
  • 신청 기간 : 9월 22일(월) 오전 9시 ~ 10월 31일(금) 오후 6시
  • 사용 기한 : 2025년 11월 30일(일)까지 (기간 미사용 시 잔액 자동 소멸)
  • 지급 방식 : 신청 시 선택 가능
    • 신용카드·체크카드 포인트 충전
    • 지역사랑상품권
    • 선불카드

 

지급 대상 기준

① 고액자산가 우선 제외

다음에 해당하는 가구는 자동으로 제외된다.

  •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 12억 원 초과 가구
  • 금융소득 합계액 2000만 원 초과 가구

② 건강보험료 기준 (2025년 6월 고지분 기준)

  • 가구원 합산 건강보험료가 소득 하위 90% 이하일 경우 지급 대상
  • 예시 : 4인 가구 직장가입자의 경우 건보료 합산액이 51만 원 이하면 수령 가능

③ 가구 특성별 보완 기준

  • 1인 가구 : 연 소득 약 7450만 원 이하(직장가입자 기준, 건보료 약 22만 원 이하)
  • 맞벌이 등 다소득원 가구 : 가구원 수를 1명 추가한 기준 적용
    • 예 : 직장가입자 2명이 있는 4인 가구 → 5인 가구 기준(건보료 60만 원 이하) 적용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총정리! 1인당 10만 원 지급 기준·신청방법·사용처

반응형

 

신청 방법

① 온라인 신청

  • 카드사 홈페이지, 앱, 콜센터, ARS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 모바일 앱 ‘The건강보험’

② 오프라인 신청

  • 카드 연계 은행 영업점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주민센터, 면사무소

③ 신청자격

  • 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성인 → 본인 직접 신청
  • 미성년자 → 세대주가 신청 (단, 세대주 부재 시 직접 신청 가능)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총정리! 1인당 10만 원 지급 기준·신청방법·사용처

 

군 장병 신청 방법(개선 사항)

  • 복무지 인근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가능
  • 선불카드 등 지역 사용 가능 수단으로 지급
  • 군부대 여건에 따라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 운영
  • 군부대 관리자가 신청서를 취합해 일괄 신청 가능

 

사용처

① 기본 원칙

  • 연 매출액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업종
  • 사용 제한 업종(대형 유흥업소, 사행성 업종 등) 제외

② 2차 지급부터 확대된 사용처

  • 일부 읍·면 지역 하나로마트, 로컬푸드직매장
  • 친환경 농산물 판매처, 지역생협 등 공익 성격 업종 (매출액 30억 원 초과도 예외 적용)

 

대상자 확인 방법

① 국민비서 서비스(사전 안내)

  • 네이버 앱, 카카오톡, 토스, 국민비서 누리집(www.ips.go.kr)
  • 9월 15일부터 맞춤형 안내 시작
  • 1차 때 이미 신청한 국민은 별도 신청 필요 없음

② 직접 조회 (9월 22일부터 가능)

  • 온라인 : 카드사 홈페이지·앱,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앱
  • 오프라인 : 은행 영업점, 주민센터 방문

 

가구 구성 기준

  • 기준일 : 2025년 6월 18일 주민등록표
  • 주소지가 다른 배우자·자녀(피부양자)는 같은 가구로 간주
  • 부모는 주소지가 다르면 별도 가구로 판단
  • 맞벌이 부부는 별도 가구로 보되, 합산이 유리할 경우 한 가구로 인정

 

외국인 및 재외국민 포함 여부

  • 원칙 : 국내 거주 국민 대상
  • 예외 포함
    • 주민등록 등재 재외국민 + 건강보험 자격 보유자
    • 외국인 중 내국인 1명 이상 포함된 주민등록표 등재자
    • 영주권자(F-5), 결혼이민자(F-6), 난민인정자(F-2-4) 등 건보 자격 보유자

 

취약계층 추가 지급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 가족 등 314만 명 → 2차 지급 포함

 

유의사항

  • 사용 기한 : 11월 30일(일)까지
  • 미사용 잔액은 자동 소멸 (현금 인출 불가)
  • 신청 기간(9/22~10/31) 내 반드시 신청해야 지급 가능

 

결론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소득 하위 90% 국민에게 실질적인 소비 여력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이번에는 1인 가구, 맞벌이 가구, 군 장병 등 사각지대를 보완하고 사용처를 확대해 실효성을 높였다. 다만 사용 기한이 짧고, 잔액 소멸 규정이 있는 만큼 기한 내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피떡 잡는 약, 혈관 건강 지키는 항혈전제 완벽 가이드

항혈전제(혈액희석제)는 심근경색·뇌졸중 예방의 핵심 약물이다. 와파린, NOAC, 항혈소판제 차이와 올바른 복용법, 임의 중단 위험성을 상세히 알아본다. 혈관 속 피떡 잡는 약, 와파린·NOAC 차이

sanisanee.com

 

 

2025년 9.7 부동산 대책 총정리 : LH 직접 시행·전세대출 2억 제한, 시장 영향은?

2025년 9월 7일 발표된 ‘9.7 부동산 대책’ 완전 정리! LH 직접 시행 공급, LTV 40% 규제, 전세대출 2억 제한 등 핵심 내용과 시장 파급효과를 분석합니다. 2025년 9.7 부동산 대책 총정리 – 공급, 대출

sanisanee.com

 

반응형